정유업계동향

석유산업이 국민생활 증진과 국가경제의 견실한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2018년 정유산업의 현황과 과제

ICON ICON

대한석유협회

2018 년 국제유가는 세계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반기 OPEC 산유국 중심의 감산합의 이행및 미국의 이란 제재 재개 (’18 년 월 등에 따라 분기까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음

2018 정유산업의 현황과 과제

 

  GS 칼텍스

 

에너지업무팀

 

 

  Global Market 현황

 

      유가

 

2018 국제유가는 세계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반기 OPEC 산유국 중심의 감산합의 이행 미국의 이란 제재 재개 (’18 8 ) 등에 따라 3 분기까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음 . 그러나 4 분기 들어 세계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원유수요 감소 OPEC 감산 완화 , 미국의 원유 공급량 증가 , 이란 원유수출 제제 예외 조치 등의 영향으로 두바이유는 연고점 84.4$/ 배럴 대비 37% 상당 급락한 52.9$/ 배럴로 마감하였음  

 

 

 

[ 국제유가 추이 ]

 

 

 

(Source: OPINET)

 

 

 

■        수요

 

세계 석유수요는 OECD 국가와 OECD 국가 모두 전년 대비 증가세가 둔화 되면서 , 수요 증가폭이 ‘17 1.51 백만 B/D 에서 ‘18 1.27 백만 B/D 축소됨

 

- OECD 국가의 석유수요는 18 하반기 OECD 유럽과 아시아 국가의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 연초 북반구 한파 , 석유화학 프로젝트 시작 , 견고한 경제성장률 등에 따른 미국의 수요증가 폭이 감소폭을 상쇄하며 , ‘17 대비 0.3 백만 B/D 증가함

 

- OECD 국가들의 경우 파키스탄 / 이라크의 천연가스 중심으로의 수요 전환 석유소비 형태 변화로 1 분기 석유수요가 약세를 보였으나 , 2 분기 이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며 중국과 인도 수요가 증가세를 견인해 , ‘17 대비 1 백만 B/D 증가함

 

< 세계 석유수요(백만B/D) >

 

 

구 분

2017

2018

1/4

2/4

3/4

4/4

연간

OECD

47.4

47.9

47.2

48.1

47.8

47.7

OECD

50.5

50.6

51.6

51.8

51.9

51.5

합계

97.9

98.5

98.8

99.9

99.6

99.2

전년

대비

증감

OECD

0.45

0.94

0.15

0.46

-0.31

0.31

OECD

1.06

0.98

0.56

1.05

1.26

0.97

합계

1.51

1.92

0.71

1.51

0.95

1.27

   * 자료 : IEA, Oil Market Report, March 2019.

 

 

 

 

 

 

■        공급

 

’18 세계 석유공급은 OPEC 소규모 감산 (37.4 백만 B/D, 전년대비 0.3% 감소 ) 에도 불구하고 , 미국 셰일오일 중심 OPEC 국가의 생산증가 (62.7 백만 B/D, 전년대비 4.7% 증가 ) 전년대비 2.7 백만 B/D 증가한 100.1 백만 B/D 기록함  

   

 

-    OPEC 국가들은 1 분기 감산합의 이행 기조 속에 베네수엘라와 UAE 감산 확대로 공급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으나 , 이후 베네수엘라 감산 지속과 이란 제재에 따른 이란의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사우디 / 이라크 / 알제리 등의 증산이 이를 상쇄하며 , 전년 대비 0.1 백만 B/D 공급이 줄어드는데 그침  

   

 

-    OPEC 국가에서는 미국이 공급 확대를 ‘18 내내 주도하였으며 캐나다 / 브라질 / 카자흐

 

스탄 / 북해의 일시적인 공급차질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생산량 확대가 이를 뒷받침하며 , 공급이 전년 대비 2.8 백만 B 증가함

 

 

 

< 세계 석유공급 동향(백만B/D) >

 

 

구 분

2017

2018

1/4

2/4

3/4

4/4

연간

OPEC

37.5

37.3

37.1

37.6

37.8

37.4

OPEC

59.9

61.1

62.1

63.4

64.1

62.7

합계

97.4

98.3

99.1

101.0

101.9

100.1

전년

대비

증감

OPEC

-0.3

0.1

-0.4

-0.3

-0.4

-0.1

OPEC

0.9

1.7

2.7

3.4

3.4

2.8

합계

0.5

1.8

2.3

3.1

3.0

2.7

* 자료 : IEA, Oil Market Report, March 2019.

 

 

 

 

 

 

■        국제제품가격 정제마진  

 

 

 

 

 ‘18 국제제품가격은 2 분기 이후 글로벌 정제 시설의 가동 확대에도 불구하고 , 중국 / 인도 주요 수입국의 수요 증가량을 공급이 충족하지 못하면서 가격 상승을 견인하였으나 하반기 제품 생산이 수요를 추월하며 제품가격 상승을 제한함 . 이에 따라 원유가격이 전년 대비 31% 상승한데 반해 제품가격 상승폭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25.8% 기록하였으며 , 원유 - 제품간 스프레드는 3.3% 상승하는데 그침

 

     - ‘10~’15 년간 지속된 북미와 유럽 중심의 노후 정제시설 폐쇄 ‘15 이후 저유가에 따른 신규증설 위축으로 ‘17 ~’18 년간 석유제품 수요가 석유제품 공급을 앞서고 있음

 

- 그러나 중동을 비롯하여 , 중국 / 인도의 신규 증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어 , 제품가격 약세

 

설비 가동률 하락 등이 조만간 가시화될 전망임

 

< 원유-제품간 스프레드 비교($/배럴) >

 

 

구 분

2017(A)

2018(B)

증감액 (B-A)

증감률 ((B-A)/A)

원유(Dubai)  

53.2

69.7

16.5

31.0   %

석유제품 주1)

65.5

82.4

16.9

25.8   %

스프레드 ( ②-① )

12.3

12.7

0.4

3.3   %

     주1) 석유제품 : 경질제품(휘/경/등) 평균가격

 

 

     * 자료 : KNOC Petronet  

 

 

 

 

< 단순/복합 정제마진 및 크레킹 마진 추이($/배럴) >

 

 

구 분

2017(A)

2018(B)

증감 (B-A)

싱가폴 단순정제마진

1.7

0.8

   0.9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5.8

4.8

1.0

크레킹

마진

-HSFO

16.6

13.5

3.1

-HSFO

16.8

19.5

2.7

  * 자료 : IEA Oil Market Trend, KNOC Petronet

 

 

 

 

 

 

국내 정유산업 현황   

 

■        국내 수급 상황

 

 2019 국내 석유제품 수급을 보면 , 원유 수입물량은 소폭 하락하였으나 , 3 분기까지의 유가   상승으로 인해 금액은 33.7% 증가하였으며 생산물량도 소폭 증가함 . 그러나 국내 소비는 전년 수준에서 소폭 하락하며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어 , 국내 정유산업의 구조적 문제인 수요약세와 공급과잉 현상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있음 . 글로벌 경기 둔화 기조 속에 국제벙커링 수요가 소폭 감소한 가운데 , 국내 정유업계의 수출 다변화 노력으로 수출 물량은 소폭 상승하였음

 

 

 

< 수급 현황 천B, $/B) >

 

 

구분

원유수입

공급

수요

물량

금액

생산

수입

내수

국제벙커링

수출

‘18

1,116,281

79,790

1,258.874

341,628

1,600,502

821,457

58,000

531,563

1,524,365

‘17

1,118,167

59,660

1,229,652

314,487

1544,139

940,083

59,136

509,113

1508,332

전년비

0.2%

33.7%

2.4%

8.6%

3.7%

0.6%

1.9%

4.4%

1.1%

* 자료 : 산업부 에너지산업 주요통계

 

 

 

 

      수출 추이

 

우리나라는 에너지 해외 의존도가 95% 이상인 에너지수입국임 . 국내 정유사는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와 해외시장 진출 노력을 통해 수출을 확대하였으며 , 현재는 석유제품만 놓고 , 수출을 통해 원유수입액의 55% 이상을 회수하고 있고 석유화학제품 수출까지 감안하면 규모는 커짐 . 석유제품은 국내 수출품목 1,2 위를 차지한 적도 있으나 , 최근 년간은 유가 하락에 따른 판매액 축소로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음

 

 

 

< 수출 5대 품목 및 비중 (백만달러, %) >

 

 

순위

2016

2017

2018

품목

수출금액(비중 )

품목

수출금액(비중 )

품목

수출금액(비중 )

1

반도체

62,228(12.6)

반도체

97,937(17.1)

반도체

126,713(20.9)

2

일반기계

44,156(8.9)

일반기계

48,607(8.5)

일반기계

53,567(8.8)

3

자동차

40,155(8.1)

석유화학

44,689(7.8)

석유화학

50,062(8.3)

4

석유화학

36,164(7.3)

자동차

41,690(7.3)

석유제품

46,762(7.7)

5

철강제품

28,535(5.8)

석유제품

35,037(6.1)

자동차

40,899(6.8)

   * 자료 : 산업부 보도자료

 

 

 

 

‘18 년에는 ‘17 대비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 국내 신증설 설비 가동 등에 따른 생산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석유제품 석유화학제품 수출은 35.5%, 12.0% 증가하였음 . 그러나 글로벌 경기 둔화 국면 속에 향후 석유 석유화학 제품 수요도 갈수록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 이에 따른 수출 감소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됨  

 

 

 

■        국내 소비

 

‘18 석유제품 소비는 전년대비 0.6% 감소하며 수요약세가 지속됨

 

< 석유제품별 소비추이(백만B, %) >

 

 

구분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항공유

납사

LPG

기타

합계

2018

79.7

18.9

167.0

33.7

39.9

451.2

109.8

34.6

934.8

2017

79.6

19.0

168.9

35.8

38.2

458.4

105.1

35.1

940.1

증감 (%)

0.1

0.7

1.1

5.9

4.3

1.6

4.4

1.4

0.6

   * 자료 : 산업부 에너지산업 주요통계

 

 

사용 용도별 추이는 발전과 가스 제조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서는 전년 대비 소비가 모두 감소한 가운데 , 특히 가정상업용의 감소폭이 것으로 나타남

 

- 발전용은 탈원전에 따른 원자력 발전 감소 추세 속에 18 중유 복합화력 발전량이 늘어나며 6.8% 증가율을 보였으나 , 가정상업용은 도시가스 보급 증가 전열기 사용 증가로 인한 등유 LPG 난방 / 취사용소비 감소로 5.4% 줄어듦

 

 

 

< 석유제품 부문별 소비추이(천B, %) > 

 

 

구분

산업

수송

가정상업

발전

가스제조

공공/ 기타

합계

2018

564,214

305,146

44,575

8,607

2,037

10,224

934,802

2017

566,956

306,208

47,126

8,060

1,228

10,505

940,083

증감 (%)

0.5

0.3

5.4

6.8

65.9

2.7

0.6

   * 자료 : 산업부 에너지산업 주요통계

 

 

 

 

■        국내 제품가격

 

‘16 년도 이래 유가가 지속 상승함에 따라 주요 수송용 석유제품인 휘발유 / 경유의 국내 가격 역시 완만한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 ‘18 4 분기 유가가 급락하면서 국내 석유제품 가격 역시 급락함

 

- 이는 국제유가와 국제제품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국제제품가 역시 ‘18 4 분기 급락 현상을 보임

 

 

 

 

 

   

 

* 자료 : 오피넷  

 

 

 

 

 

 

 

■        정유사 경영실적

 

‘18 년도 3 분기까지의 유가 상승으로 매출액은 ‘17 대비 20.5% 증가하였으나 , 4 분기 유가 급락 이에 따른 정제마진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1% 급감하였음 .

 

- 정유부문 영업이익은 대규모 재고평가 손실까지 겹쳐 54.1% 급감하였음  

 

- 또한 , 국내 정유사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4% 삼성전자 국내 주요기업과 비교시   영업이익률이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 국내 코스피 12 결산법인 (540 ) 2018 평균 영업이익률인 8.3%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임

 

< 정유사 경영실적(억원, %) >

 

 

구분

매출액

영업이익

법인

2018

1,378,408

46,960

2017

1,144,125

79,589

증감 (%)

20.5%

41.0%

정유

부문

2018

1,060,752

20,120

2017

871,650

43,855

증감 (%)

21.7%

54.1%

   * 자료 : 대한석유협회

 

 

 

 

< 국내 주요기업 2018 경영실적 비교(억원, %)> 

 

 

구분

정유4

포스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T

매출액

1,378,408

649,777

2,437,714

968,126

168,740

영업이익

46,960

55,426

588,867

24,222

12,018

영업이익률

3.4%

8.5%

24.2%

2.5%

7.1%

* 출처 : DART

 

 

** 현대자동차는 ‘17년도 이전까지 큰 폭의 영업이익률을 보였으나, ‘18년도 글로벌 자동차 수요 저성

 

장 국면 속에 투자 비용이 늘면서,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47.1%나 급감함  

 

 

 

 

 

 

정유산업 과제

 

 

앞서 분석한 바와 같이 글로벌 정유산업은 중동산유국을 비롯하여 인도 / 중국 / 베트남 등의 정제시설 증설 글로벌 경기 둔화 여파로 ‘18 4 분기 이후 석유제품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으며 , 이런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이에 따라 국내 정유사들은 이미 내수시장도 수요 약세와 공급 과잉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같은 수출환경 악화로 이중고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  

 

   

더욱이 최근 정부는 미세먼지 이슈로 인해 정유산업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갈수록 강화하고 있으며 , 에너지전환 수소경제 활성화 추진에 따라 전통적인 에너지 산업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  

 

이런 상황에서 정유업계는 석유화학 설비 증설 등을 통한 사업 다각화 , 수출선 다변화 자구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 전세계적인 정유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  

 

 

정유산업은 자체 산업으로서의 중요성은 물론 여타 산업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 중간재를 공급하기 때문에 후방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도 매우 중대한 산업이다  

 

   

 따라서 정부는 규제 위주의 석유정책에서 탈피하여 , 정유산업에 대한 진흥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산유국과의 FTA 체결을 통한 원유 무관세 실현 , 원유도입선 다변화 지원제도의 실효성 제고 , 에너지원간 형평성 제고 등의 정책을 통해 국내 정유산업이 수출 경쟁력을 갖추고 , 국가 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있는 환경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바란다 .  ( )  

 

 

 

 

 

 

 

 

 

 

 

 

 

 

 

 



목록